리소스 체크, 내 업무를 증명하는 첫걸음
회사 생활 하다 보면 “나 진짜 바쁜데…” 싶은데,
정작 위에 계신 분들은 내가 얼마나 바쁜지 잘 모를 때 많지 않나요?
특히 실무자들은 ‘보이지 않는 일’이 쌓이고 또 쌓이는데,
이게 그냥 “해결된 결과”로만 보여서…
정작 누가 뭐 했는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.
이럴 때 딱! 필요한 게 바로 리소스 체크예요.
오늘은 제 친구 이야기 들려드리면서
“리소스 체크가 왜 중요한지” 한 번 같이 생각해볼게요.
친구의 고민: 보이지 않는 업무와 과부하
제 친구, 아웃도어 브랜드 B2B 영업부서에서 일하고 있는데요.
겉으로 보면 “상품 팔고 끝!” 같지만,
실제로는 바이어랑 계속 연락, 중간 전달, 서류 검증,
갑자기 뭐 수정해달라 그러면 그거 고치고,
시장 조사까지…
진짜 하루가 정신없을 정도로 바빠요.
문제는 이런 일들이 수치로 잘 드러나지 않다 보니,
“나 너무 힘들어요” 해도 설득력이 잘 안 먹힌다는 거죠.
팀장님은 “그거 금방 되지?” 하면서 계속 새로운 일 던지고,
친구는 과부하가 쌓여서 점점 지쳐갔습니다.
“아니, 내가 이렇게 고생하는데 왜 아무도 몰라줄까?”
친구에게 리소스 체크를 해보라고 조언해줬어요.
리소스 체크로 내 일의 가치를 알리자
친구의 각 업무를 주간 횟수로 정리하고,
업무별로 평균 소요 시간도 직접 적어봤어요.
엑셀이나 표로 한눈에 보이게 만든 거죠!
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요:
대분류 | 상세분류 | 태국 | |||
1주간 처리 횟수 | 실제 처리시간 (분) |
바이어 소통시간(분) | 총 소요시간 (분) |
||
수출입 사전작업 | 원산지확인서 | 100 | 30 | 130 | |
팔레트/패킹/네임택 | 50 | 100 | 150 | ||
출고/오픈 일정 | |||||
박스 관리 | |||||
전산 | |||||
통관/정산 | 통관비 품의 | ||||
배송문의/인보이스 | |||||
임가공/입고확인 | |||||
법인/서류 | 법인 설립/관리 | ||||
인감/증명 | |||||
프로샵 팝업상황 | |||||
법인서류 | |||||
판매등록/CS | 반품정리 | ||||
시장조사 | |||||
판매등록 | |||||
기타 지원/일정 | 일정관리 | ||||
재직증명서 전달 |
만약 여러분도
“일 진짜 많은데 왜 아무도 몰라주지?”
라는 생각이 든다면,
리소스 체크 꼭 해보세요!
내가 한 일,
숫자와 표로 보여주면
조직에서도 내 노력을 더 잘 알아주고,
업무 분배도 달라지고, 추후 연봉협상에도 도움이 되요.
'배움기록 > IT 업계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에 맞는 데이터만 가져오는 방법 (WHERE 절) (0) | 2025.06.18 |
---|---|
SQL 1일차 – DB가 뭐야? SQL 완전 기초 입문 (0) | 2025.06.18 |
네트워크 기초 완전 정복! LAN, WAN, 인터넷까지 한 번에 알아보기 (0) | 2025.06.17 |
리눅스 서버 점검 실무 가이드: 왕초보 맞춤형 (0) | 2025.06.16 |
기획팀 OUT? 진짜 운영팀이 챙겨야 할 인수인계 리스트 공유! (1) | 2025.06.13 |